코테공부

프로그래머스 29일차 - 과일 장수

알면 알 수록 재밌다! 2023. 3. 17. 11:18
문제 설명
과일 장수가 사과 상자를 포장하고 있습니다. 사과는 상태에 따라 1점부터 k점까지의 점수로 분류하며, k점이 최상품의 사과이고 1점이 최하품의 사과입니다.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한 상자에 사과를 m개씩 담아 포장합니다.상자에 담긴 사과 중 가장 낮은 점수가 p (1 ≤ p ≤ k)점인 경우,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p * m 입니다.과일 장수가 가능한 많은 사과를 팔았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계산하고자 합니다.(사과는 상자 단위로만 판매하며, 남는 사과는 버립니다)예를 들어, k = 3, m = 4, 사과 7개의 점수가 [1, 2, 3, 1, 2, 3, 1]이라면, 다음과 같이 [2, 3, 2, 3]으로 구성된 사과 상자 1개를 만들어 판매하여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최저 사과 점수) x (한 상자에 담긴 사과 개수) x (상자의 개수) = 2 x 4 x 1 = 8사과의 최대 점수 k, 한 상자에 들어가는 사과의 수 m, 사과들의 점수 score가 주어졌을 때, 과일 장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3 ≤ k ≤ 9
3 ≤ m ≤ 10
7 ≤ score의 길이 ≤ 1,000,000
1 ≤ score[i] ≤ k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return 해주세요.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다음과 같이 사과 상자를 포장하여 모두 팔면 최대 이익을 낼 수 있습니다.
사과 상자가격
[1, 1, 2]1 x 3 = 3
[2, 2, 2]2 x 3 = 6
[4, 4, 4]4 x 3 = 12
[4, 4, 4]4 x 3 = 12
따라서 (1 x 3 x 1) + (2 x 3 x 1) + (4 x 3 x 2) = 33을 return합니다.

 

해설

목표 : 사과를 m 개수만큼 파는데 비싸게 팔고 싶다이다.

 

문제를 쪼개보자.

일단 비싸게 팔고 싶고 m개수 외의 사과는 버릴것이다.

 

리스트 요소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여기서 리스트 요소 개수를 m 개수로 나눠서 나머지는 버린다. 그럼 낮은 숫자들만 버리게 된다.

그 인덱스 위치를 알았다면 슬라이싱을 한다.

만약 나머지가 0이면 슬라이싱을 할 필요가 없다.

 

슬라이싱한 리스트를 for문을 돌려서 m개수 만큼 다시 리스트에 넣어준다. 

[[9, 6, 5], [5, 5, 4], [3, 3, 2]]

이렇게 만들어주고 

 

for문을 다시 돌려서 연산을 한다.

리스트 속 작은 요소 [9,6,5]에서는 5가 되고 m은 3이니까 5 * 3 이렇게 각각의 리스트 계산값이 나온다.

이걸 cnt에 넣어서 cnt 값을 리턴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