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공부/AWS Certified Developer - Associate

AWS Certified Developer Associate 시험 합격을 위한 모든 것 - (5)

알면 알 수록 재밌다! 2023. 3. 20. 07:00

오늘은 RDS, Aurora, ElasticCache에 대해서 강의를 봤다.

해당 문제를 공유하고자 한다.

 


1.

해설 : RDS는 MySQL, PostgreSQL, MariaDB, Oracle, MS SQL Server 및 Amazon Aurora를 지원하며, MongoDB는 DocuDB라는 다른 서비스를 이용해야한다.

 

2.

해설 : 다중 AZ는 다운되는 전체 AZ에 대한 재해 복구를 계획할 때 도움이 됩니다. 전체 AWS 지역이 다운될 것을 계획하는 경우 AWS 지역에 걸쳐 백업 및 복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3.

해설 : 시험에서 문제를 읽는 방식에 매우 주의하세요. 여기서 질문은 이 문제에 적합하지 않은 솔루션을 묻는 것입니다. ElastiCache 및 RDS 읽기 전용 복제본은 실제로 읽기 확장에 도움이 됩니다.

 

*다중 리전은 읽기를 빠르게 만들어주지는 않는다.

 

4.

해설 : 읽기 전용 복제본은 비동기로 동작을 하기 떄문에 항상 최신의 데이터를 볼 수는 없습니다.

 

5.

복제본 읽기 : 읽기 전용 복제본은 자체 DNS 이름으로 새 엔드포인트를 추가합니다. 읽기 부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개별적으로 참조하도록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해야 합니다.(엔드포인트를 바꿔줘야한다)

 

해설 : 다중 AZ는 어떤 데이터베이스가 작동 중인지에 관계없이 동일한 연결 문자열을 유지합니다.(바꿀 필요가 없다)

 

6.

해설 : ElastiCache에 세션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은 다른 EC2 인스턴스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상태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일반적인 패턴입니다.

 

7.

해설 : 읽기 전용 복제본은 이제 분석 애플리케이션이 이에 대한 쿼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도움이 되며 이러한 쿼리는 기본 프로덕션 RDS 데이터베이스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8.

해설 : 자동 장애 조치를 사용한 다중 AZ 확인란을 선택한다.

 

9.

 

IAM 인증 : IAM 인증은 ElastiCache Redis에 대해 지원되지 않습니다. RDS MySQL 및 RDS PostgreSQL 모두에서 작동합니다.

해설 : Redis 클러스터용 보안 그룹을 선택하는게 보통이지만, 사용자가 연결할 때 암호 입력하게 하는 것은 Redis 인증이다.

 

10.

해설 : 다른 리전에서 복제본을 이용하는 것은 서비스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피해가 가지 않는다.

 

11.

해설 : 재해복구 = 다중리전, 신속 사용 = 읽기 전용 복제본

 

12.

해설 : 기본적으로 ssh 접근이 막혀있다. iam 계정 : 개발자용 / cognito 계정 :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용 으로 이해하면 편하다.

 

13.

해설 : 읽기 전용 복제본은 비동기식이라 항상 최신의 데이터를 볼 수는 없는 단점도 있다. 다중 AZ는 동기식으로 복제가 된다.

 

14.

해설 : 스냅샷을 이용해서 암호화를 하면 DB 연결이 끊기지 않고 암호화할 수 있다.

 

15.

해설 : 최대 5개 까지라고 한다.

 

16.

해설 : 오라클은 타 회사 서비스니까 제공 안하는게 당연하다.

 

17.

해설 : 암호화되지 않은 RDS DB 인스턴스에서는 암호화된 읽기 전용 복제본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스냅샷 생성해서 암호화 시킨 후 암호화된 읽기 전용 복제본을 생성한다.

 

18.

해설 : 최대 15개라고 한다.

 

19.

해설 : 2023.03 현재 mysql, postgresql 만 제공한다.

 

20.

해설 : 기본적으로 RDS와 같다. RDS처럼 최대 5개 읽기 전용 복제본 생성이 가능하다.

 

21.

해설 : 캐시에 데이터가 계속 있게 되는 경우, 해당 key를 가지는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었는데 캐시에 데이터가 남아있게 된다면 클라이언트의 요청과는 다르게 캐시에 있는 데이터를 내려주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캐시 제거라는 것을 한다., 해결방법은 Redis 클러스터를 확장해야 한다.

 

22.

해설 : 모든 사용자에게 SSL을 강제해야하므로 Require ssl sql을 실행시킨다고 한다.

 

23.

해설 : Lazy Loading은 필요할 때만 캐시에 데이터를 로드합니다(데이터베이스에서 능동적으로 데이터를 요청한 경우).

 

*참고로 읽기가 빠르고 쓰기가 느린게 Write Through, 읽기가 느리고 쓰기가 빠른게 Lazy Loading(데이터 적을수록 유리)

 

24.

해설 : 이것은 쓰기가 더 길지만 읽기가 빠르고 데이터가 항상 캐시에서 업데이트됩니다.(write through는 쓰기가 느리지만 읽기에는 빠르다)

 


다시 복습해야할 것이 좀 있는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