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CloudFront
AWS CloudFront를 이용하여 S3이미지 cache하기 - (3)
알면 알 수록 재밌다!
2023. 3. 14. 07:00
어제 글에 따라서 이제 S3 객체의 설정을 해야한다.
(Cache 유지시간이라던가 Cache Control 이라던가 등등)
S3에 들어와서 메타데이터 편집을 누른다.
아래와 같이 설정하고 싶은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나는 Cache-Control을 줘서 Cache max-size를 1000초로 뒀다.
Content-Language도 한국/미국 등 지정할 수 있다.
Content-Type은 jpeg로 했다.
참고로 S3는 directory가 아닌 prefix라는 개념인데, 각 prefix마다 설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한 prefix에서 2가지 Content-Type을 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jpeg랑 png 2가지 이미지 확장자를 동시에 Cache 할 수 없음)
그래서 확장자가 다르다면 prefix를 나눠서 각자 다른 prefix에 확장자를 저장하도록 해야한다.
테스트
S3 주소 + prefix + 이미지로 크롬에서 테스트해보자
아래 처럼 Cache-Control(Cache)가 적용되었다 !
참고로 Cache니까 처음 접속할 때는 안뜨는게 맞다.
2번째 부터 제대로 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