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 애드혹 네트워크(Ad-hoc Network)
무선 네트워크 구성 방식 :
애드혹 네트워크 - 센서망, 재난망에 사용되며 구성이 빠르고 모든 단말이 동등한 자격으로 망을 구성
Infrastructure 네트워크 - 이동통신망,Wi-Fi에 사용되며 중앙집중형 방식
메쉬 네트워크 - 무선백본망에 사용되며 신뢰성이 우수하고,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음
(1) UX(User Experience)
(2) UI(User Interface)
답 : 원자성이란 모두 반영되거나 아니면 전혀 반영되지 않아야 한다.
트랜젝션 특징 - 원자성, 일관성 , 독립성, 지속성
일관성 : 트랜잭션의 작업 처리 결과가 항상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
독립성 : 둘 이상의 트랜잭션이 동시에 실행되고 있을 경우, 어떤 하나의 트랜잭션이라도 다른 트랜잭션의 연산에 끼어 들 수 없다는 점
지속성 :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을 경우에 결과는 영구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
원자성 : 모두 반영되거나 아니면 전혀 반영되지 않아야 한다.
답 : 제 2 정규형
- 기본키(주문번호 컬럼)이 제품번호에 의해 결정될 수 있기때문에 분해를 해야합니다.
- 부분 함수적 종속성 : 기본키의 부분집합이 결정자가 되버린 현상
제 1정규형 : 도메인이 원자값
제 2정규형 : 부분 함수적 종속 제거
제 3정규형 : 이행적 함수 종속 제거
BCNF : 결정자이면서 후보키가 아닌 것 제거
제 4정규형 : 다치 종속 제거
제 5정규형 : 조인 종속 제거
1. UPDATE
2. SET
1. ON
2. 학과
답 : 26
>> 이란?
a >> i 에서 >>는 비트연산자를 말한다.
정수와 함께 사용할 때 오른쪽 이동 연산자는 첫 번째 피연산자( a이 경우)의 비트를 두 번째 피연산자(이 경우)에 지정된 비트 수만큼 오른쪽으로 이동 i하고 가장 왼쪽 비트를 0으로 채웁니다.
예를 들어, 한 위치 a >> 1의 비트를 a오른쪽으로 이동하여 효과적으로 a2로 나눕니다(각 오른쪽 이동은 2로 나누는 것과 동일하므로). 마찬가지로 두 위치 a >> 2의 비트를 a오른쪽으로 이동하여 효과적으로 a4로 나눕니다.
i가 1일때
result = 100 // 2
result = 50 + 1
i가 2일때
result = 51 // 2
result = 25 + 1
range (1,3)에서 3은 돌아가지 않으므로 정답은 26이 됨
답 :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대칭키(symmetric Key) 알고리즘 :
동일한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와 복호화를 하는 것을 의미하며 가장많이 사용하는 알고리즘이 AES 입니다.
비대칭키(Asymmetric Key) 암호화 :
다른 말로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하나의 키가 아닌 암호화에 쓰이는 키 값과 복호화에 쓰이는 키 값이 다른 것을 의미합니다. 제일 많이 사용하는 알고리즘은 RSA입니다.
1. 문장
2. 결정
3. 조건
1. 이%
2. DESC
1. 절차적 응집도
2. 교환적 응집도
3. 기능적 응집도
응집도 순서 (낮은것부터 높은 순서)
우연적 > 논리적 > 시간적 > 절차적 > 교환적 > 순차적 > 기능적
우연적 응집도 : 모듈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이 연관이 없을 경우
논리적 응집도 : 유사한 성격을 갖거나 특정 형태로 분류되는 처리 요소들이 한 모듈에서 처리되는 경우
시간적 응집도 : 연관된 기능이라기보단 특정 시간에 처리되어야 하는 활동들을 한 모듈에서 처리할 경우
순차적 응집도 : 모듈 내에서 한 활동으로부터 나온 출력값을 다른 활동이 사용할 경우
1. 가상 회선 방식
2. 데이터그램 방식
패킷교환방식(저장 방식) : 패킷이라는 단위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합니다. 패킷이란 정보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한 뒤 각각의 패킷에 송수신 주소 및 부가 정보를 입력한 것으로 현재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EX : 인터넷)
* 반대개념
회선 교환 방식(비 저장 방식) : 물리적 전용선을 활용하여 데이터 전달 경로가 정해진 후 동일 경로로만 전달이 됩니다.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양을 의미하는 대역폭이 고정되고 안정적인 전송률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EX : 전화망)
답 : 행위(behavioral)
행위패턴은 객체나 클래스 간의 교류 방법에 대해 정의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행위패턴 클래스 : Interpreter, Template
행위패턴 객체 : Chain of Responsibility, Command, Iterator, Mediator, Memento, Observer, State, Strategy, Visitor
답 : 로킹
병행제어란 다중 프로그램이 이점을 활용하여 동시에 여러 개의 트랜잭션을 병행수행할 때,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들이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을 파괴하지 않도록 트랜잭션 간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것입니다.
병행제어기법 - 로킹, 타임 스탬프 순서, 최적 병행 수행, 다중 버전 기법
타임 스탬프 순서(Time Stamp Ordering) : 트랜잭션과 트랜잭션이 읽거나 갱신한 데이터에 대해 트랜잭션이 실행을 시작하기 전에 시간표(time stamp)를 부여하여 부여된 시간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 기법
최적 병행 수행(검증기법, 낙관적 기법) : 병행수행하고자 하는 대부분의 트랜잭션이 읽기 전용 트랜잭션일 경우, 트랜잭션 간의 충동률이 매우 낮아서 병행제어 기법을 사용하지 않고 실행되어도 이 중의 많은 트랜잭션은 시스템의 상태를 일관성 있게 유지한다는 점을 이용한 기법
다중 버전 기법 : 타임 스탬프의 개념을 이용한 기법으로 타임 스탬프는 트랜잭션 및 데이터들이 이용될 때의 시간을 시간표로 관리하지만 다중 버전 기법은 갱신될 때마다의 버전을 부여하여 관리하는 기법
1. Function Modeling
2. Dynamic Modeling
3. Object Modeling
럼바우 객체지향 분석 기법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그래픽 표기법을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분석 기법입니다.
분석활동 : 객체 모델링(Object Modeling), 동적 모델링(Dynamic Modeling), 기능 모델링(Functional Modeling)
럼바우 객체지향 분석 기법의 절차 :
객체 모델링 > 동적 모델링 > 기능 모델링
답 :1024
답 : static
답 : 8
답 : 11
답 : 스텁
테스트 하네스란 시스템 및 시스템 컴포넌트 시험하는 환경의 일부분으로 시험을 지원하는 목적 하에 생성된 코드와 데이터를 뜻합니다. 시험 드라이버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단위 시험이나 모듈 시험에 사용하기 위해 코드 개발자가 만듭니다.
테스트 하네스 도구 구성 요소 :테스트 드라이버, 테스트 스텁, 테스트 슈트, 테스트 케이스, 테스트 스크립트, 목 오브젝트
'자격증공부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7일차 - 실기 2020년 1회 (0) | 2023.04.09 |
---|---|
정보처리기사 6일차 - 실기 2021년 3회 (0) | 2023.04.08 |
정보처리기사 4일차 - 실기 2021년 1회 (0) | 2023.04.06 |
정보처리기사 3일차 - 실기 2022년 3회 (0) | 2023.04.05 |
정보처리기사 2일차 - 실기 2022년 2회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