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 & 쿠버네티스/k8s

참고로 m1이나 m2 arm64 아키텍쳐인 분들 삽질 안하고 싶으시면 9번부터 보시면 됩니다. uname -m 으로 본인의 컴퓨터 아키텍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아래 블로그를 참고했는데, 에러가 났으므로 삽질 과정이다... https://github.com/HomoEfficio/dev-tips/blob/master/minikube-hyperkit-alternative-to-docker-desktop.md brew install docker 우선 도커를 설치하고 도커 데스크탑을 설치한다. 2. https://www.docker.com/products/docker-desktop/ 위 링크를 클릭해서 mac 환경에 맞는 것을 설치한다. 3. brew install minikube 미니쿠베를 설치한다. 4..
*intel mac 기준 AWS EKS로 세팅하기 전에 로컬에서 테스트해보고 싶어 직접 설치해봤다. brew install hashicorp/tap/hashicorp-vagrant https://www.virtualbox.org/wiki/Downloads 위처럼 설치한다. 그리고 vagrant up을 실행해봤다. 위 에러가 났다. 환경이 다르다보니 윈도우 기준으로 강의가 만들어졌다보니 맥 유저가 에러가 많이 생기는 것 같다. 내일 해결해봐야겠다. 역시 세팅이 젤 어려운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