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는 많은 기능을 제공한다.
RDS를 사용할 때 API 호출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던가 하는 일이 발생할 것이다.
그때 사용하는 것이 Performance Insight라는 것이다.
특별히 설정할 것은 없고 IAM 계정에 RDS access가 인라인 정책으로 부여되어 있어야한다.
안그럼 permission error가 뜨기 때문이다.
AWS RDS에 들어가면 Performance Insight 를 볼 수 있다.
슬로우 쿼리, 대기정보, 세션별 쿼리 실행 등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기 위해 조금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려면 RDS 성능 개선 도우미(Performance Insight)를 사용할 수 있다.
성능 개선 도우미를 사용하려면 DB 인스턴스 또는 다중 AZ DB의 클러스터에서 활성화 해야한다. 필요에 따라 활성/비활성이 가능하며, 상태 변경 시 재부팅 또는 장애조치가 발생하지 않는다. 성능 개선 도우미를 사용하면 에이전트가 실행되는데 이때 약간의 오버헤드가 발생하기 때문에 DB 로드가 높은 경우 수집 빈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래프로 지표를 나타내는데, 직접 선택을 할 수도 있다.
대시보드는 아래와 같이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l 카운터 지표 : 특정 성능 카운터 지표의 데이터를 표시
l DB 부하 차트 : DB 부하와 DB 인스턴스 용량을 비교하여 최대 vCPU 선으로 표시
l 상위 항목(Top Item) : DB 로드에 기여하는 상이 차원을 표시
위 처럼 데이터베이스 로그가 최대 CPU(Max CPU) 선을 상회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어떤 작업이 DB 부하를 차지하는지 보여준다.
위처럼 SQL 쿼리에 관한 성능 지표를 나타내며, 초당 실행횟수 등을 나타낸다.
*참고로 현재 Aurora 서버리스는 성능 개선 도우미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한다.
어쩐지 내 차트는 아래처럼 아무것도 안뜨길래 왜 그럴까 했는데, AWS Aurora PostgreSQL 을 사용하니까 그런것이었다.
RDS랑 Aurora는 다른 서비스이니까 구별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