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년차 백엔드 개발자의 기록 공간입니다. 많은 성장을 바라고 있습니다.
·기타
이번 챕터를 시작하며 꼭 해내고 싶었던 목표- 여태까지 과제 제출을 제대로 못해서 이번주는 과제를 어느정도 해보자라고 생각했었다... 이번 챕터를 마무리하며 가장 기억에 남는 성취- 하지만 docker-compose로 환경만들고 모노레포로 msa 만드려다가... 포기해버렸다 이번 챕터에서 반드시 이뤘으면 했는데 이루지 못한 것- msa 환경 만들기 + 이벤트 드리븐 아키텍쳐 설계하기 아예 못해버렸다 다음 챕터에서 반드시 성공하고 싶은 목표- 여태까지 세션 복습하고 모든 세션 끝나고 다시 처음부터 만들어서 기본기를 쌓자라고 생각했습니다. 내가 강화해야 할 강점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한 가지- 집중력이 강하다. 내가 개선해야 할 개선점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한 가지- 본질을 파악하려 하지 않고..
·기타
1. 과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부딪혔던 기술적인 문제 인덱스를 거는게 효과가 없어보여서 인덱스를 거는게 맞나라고 고민함.event-driven 아키텍쳐 사용하려고 했는데, 전체 코드 스타일을 깨트리는것 같아서 처음부터 싹 갈아엎어야하나 고민 2. 시도 부하테스트를 하면서 인덱스 효과를 보는지 아닌지 잘 느낌이 안와닿았음.이벤트 드리븐 해보려고 emit 뭐시기 패키지 찾아봄 3. 해결 테스트를 해보면서 explain을 보는 법을 깨닳았다. 그곳에 인덱스 결과가 나오고 있었다. 4. 알게 된 것 이벤트 드리븐을 하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쳐를 구성할때 도움이 되겠다고 생각했는데, 지금 코드 스타일과 많이 달라서 새로 프로젝트를 파서 하는게 낫겠다고 생각함 5. 현재 만족하고 계속 유지할 부분 고민하는 시간..
·기타
1. 과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부딪혔던 기술적인 문제 레디스를 간단하게 set만 사용해봤지 sorted set, lock 이런것을 처음 사용해봐서 공부부터 했던 것부하테스트를 하는데 이렇게 하는게 맞나 고민의 연속... 2. 시도 공식문서 보면서 어떤 자료구조가 있는 지 파악부터 했다. 그리고 문서를 작성하려고 slow query의 기준을 만들려고 부하테스트를 하는데,부하테스트한 결과를 해독하는게 어려웠다. 3. 해결 다른분들 작성한 것을 보면서 어떤 기준으로 슬로우쿼리를 판단하고 그래서 어떤 기술을 도입하려고 하는지 생각을 보면서 알게 되었다. 4. 알게 된 것 로컬에서 부하테스트는 의미가 별로 없고, 어떤 기준을 슬로우 쿼리의 기준으로 삼았고, 어느 기준을 넘어가면 코드 리팩토링을 해야한다. 라는..
·git
github action에서 docker-compose job을 수행하는데, 에러가 떴다. https://github.com/orgs/community/discussions/116610 Error: docker-compose command not found · community · Discussion #116610Select Topic Area Bug Body If you've encountered the error "docker-compose command not found" on or about April 2, 2024, it means you're using the v1 Docker Compose command. GitHub deprecated v1, a...github.com 위 글을 읽어보면 d..
·기타
우선 jmeter를 사용하려면 java부터 설치해야하는데, 설명은 생략하고 넘어가겠다. 그리고 jmeter 설치는 https://velog.io/@rkfksh/JMeter-%EB%AC%B4%EC%9E%91%EC%A0%95-%EB%94%B0%EB%9D%BC%ED%95%B4%EB%B3%B4%EA%B8%B0Windows JMeter 무작정 따라해보기(Windows)API 테스트 자동화에 관심이 생기면서 작년에 들었던 API 테스트 자동화 교육이 떠올랐다.문득 자료를 다시 찾아보니까 어디서 본듯한 녀석이 눈에 띄었다.JMeter어렴풋이 성능 테스트 도구로 알고velog.io이 블로그를 참고하면 쉽게 되어서 jmeter 설치 정리도 생략하겠다.   스레드 수 : 유저 몇 명 접속한 것으로 할거냐ramp up pe..
·기타
1. 자기소개 안녕하세요, 저는 항해 플러스 5기 진행중인 2년차 백엔드 개발자 이지훈이라고 합니다.어느덧 5주라는 시간이 흘러 절반을 진행했네요.2년이라는 기간 동안 여러 회사를 이직했지만, 혼자서 백엔드를 개발하거나 제대로 된 시니어가 없어서 제대로 성장하고 있는 지 의문이 들어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2. 이번 챕터 목표 이번 챕터를 시작하며, 미완성이었던 어플리케이션을 완성시키고 PR을 깔끔하게 하자고 다짐했었습니다.저번 주차에 시간이 너무 없었던 터라 과제를 많이 작성 못해 아쉬웠었습니다. 3. 이번 챕터 성취 레이어드 아키텍쳐를 제대로 못했었는데, 이제야 감을 잡아서 구조를 만들게 되어서 만족했다. 4. 이루지 못한 것 PR 깔끔하게 하고 싶었는데, 시간이 없어서 pr하고 작업하고 반복하다보니 ..
·기타
### 1. 문제 **(과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부딪혔던 기술적인 문제)**이번 주차를 지나며 겪었던 문제가 무엇이었나요?1) 스케쥴러 코드를 어디에 배치해야할까2) 각 레이어마다 request, response를 작성해야하는데, 공통으로 관리하는게 낫나 각 레이어에 따로 작성하는건가### **2. 시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시도를 하셨나요?1) 다른분들 코드 참고### **3. 해결**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셨나요?1) 관련된 도메인쪽에 같이 둠2) 공통으로 관리하게 함### **4. 알게된 것**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도하며 새롭게 알게된 것은 무엇인가요? 레이어드 아키텍쳐 좀 더 알게 된것 같다. 더 많이 써보긴 해야할듯---### **Keep : 현재 만족하고 계속 유지할 부분**이번 주를..
1. 문제점 at process.processTicksAndRejections (node:internal/process/task_queues:95:5) { parent: TimeoutError: Operation timeoutat Timeout. (/app/node_modules/sequelize-pool/lib/Deferred.js:17:25)at listOnTimeout (node:internal/timers:573:17)at process.processTimers (node:internal/timers:514:7), original: TimeoutError: Operation timeoutat Timeout. (/app/node_modules/sequelize-pool/lib/Deferred.j..
알면 알 수록 재밌다!
개발새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