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 t와 p가 주어질 때, t에서 p와 길이가 같은 부분문자열 중에서, 이 부분문자열이 나타내는 수가 p가 나타내는 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나오는 횟수를 return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예를 들어, t="3141592"이고 p="271" 인 경우, t의 길이가 3인 부분 문자열은 314, 141, 415, 159, 592입니다. 이 문자열이 나타내는 수 중 271보다 작거나 같은 수는 141, 159 2개 입니다.
제한사항
1 ≤ p의 길이 ≤ 18
p의 길이 ≤ t의 길이 ≤ 10,000
t와 p는 숫자로만 이루어진 문자열이며,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본문과 같습니다.
입출력 예 #2p의 길이가 1이므로 t의 부분문자열은 "5", "0", 0", "2", "2", "0", "8", "3", "9", "8", "7", "8"이며 이중 7보다 작거나 같은 숫자는 "5", "0", "0", "2", "2", "0", "3", "7" 이렇게 8개가 있습니다.
입출력 예 #3p의 길이가 2이므로 t의 부분문자열은 "10", "02", "20", "03"이며, 이중 15보다 작거나 같은 숫자는 "10", "02", "03" 이렇게 3개입니다. "02"와 "03"은 각각 2, 3에 해당한다는 점에 주의하세요
해설
우선 받은 문자열인 "3141592", "271"을 리스트에 담으면서 하나하나 요소로 쪼갠다.
첫번째 리스트인 ["3", "1", "4", "1", "5", "9", "2"] 와 두번째 리스트인 ["2", "7", "1"] 로 만들었다면,
이를 for문을 돌려 2 7 1의 요소 개수인 3만큼 첫번째 리스트에서 슬라이싱해서 리스트에 담는다.
근데 두번째 리스트 개수가 3인데, 첫번째 리스트에서 for문을 돌리다보면 마지막은 92, 2 이렇게 개수가 모자르게 되는데,
이것은 리스트에 담지 않는다.
만들어진 리스트의 요소를 join 함수를 써서 하나의 문자열로 만든다.
그다음 이걸 다시 리스트에 담는다.
(사실 이 부분은 첫번째 for문에서 해도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314, 141, 159, 592를 int로 형변환해서 처음 입력받았던 p와 비교를 한다.
작거나 같으면 카운팅한다.
'코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28일차 - 삼총사 (0) | 2023.03.16 |
---|---|
프로그래머스 28일차 - 명예의 전당 (1) (0) | 2023.03.16 |
프로그래머스 27일차 - 가장 가까운 같은 글자 (0) | 2023.03.15 |
프로그래머스 27일차 - 푸드 파이트 대회 (2) | 2023.03.15 |
프로그래머스 27일차 - 평균 일일 대여 요금 구하기 (0) | 202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