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해야할 것들이 남아있다. 1. github action commit tag https 리다이렉트 3. auto scaling 어떤 서버에 연결되던, 어디에 푸쉬를 하던 최신 번호 확인이 필요해서 hash 를 쓴다고 한다. 인터넷을 보면 아래처럼 많이 써서 나도 이렇게 썼는데, repository에서 이미지를 못 가져오는것이었다. env: ECR_REGISTRY: ${{ steps.login-ecr.outputs.registry }} ECR_REPOSITORY: IMAGE_TAG: ${{ github.sha }} 그래서 ${{ github.sha }} 이게 뭔지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푸쉬한 브랜치의 최신 번호를 가져온다고 하는데 나는 자꾸 이걸 못가져오는 것이다. 어디서 못가져오느냐? Dockerrun..
분류 전체보기
·코테공부
문제 설명 머쓱이는 행운의 숫자 7을 가장 좋아합니다. 정수 배열 array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7이 총 몇 개 있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1 ≤ array의 길이 ≤ 100 0 ≤ array의 원소 ≤ 100,000 입출력 예 설명 - 입출력 예 #1 [7, 77, 17]에는 7이 4개 있으므로 4를 return 합니다. - 입출력 예 #2 [10, 29]에는 7이 없으므로 0을 return 합니다. 해설 def solution(array): answer = 0 lst = [] for cnt in array: cnt_lst=list(map(int, str(cnt))) lst.append(cnt_lst) one_demension_lst=sum(lst, ..

EB를 github action을 통해 배포하기 아래 두개 링크 참조했음 https://earth-95.tistory.com/124 https://velog.io/@rudwnd33/zero-downtime-deployment 길이가 길어서 2개로 나눠서 해설하겠다. name: Deploy to Elastic Beanstalk 시작할 워크플로우의 이름을 말한다 on: push: branches: - main on아래 트리거를 걸 수 있는데, push 할 때 워크플로우가 작동한다는 것이고 branches는 main 브런치라고 정했다. jobs: deploy: runs-on: ubuntu-latest jobs는 시작할 워크플로우의 잡을 말한다. 잡은 배포이며, ubuntu 최신버전의 가상환경에서 돌아갈 예정이..
하고자 하는 것은 1. nginx없이 load balancer로 port forwarding 하기 2. 도메인은 가비아 사용하며 3. 서브도메인 사용할거임 4. acm 으로 ssl 인증서 적용할거임 ALB(Application Load Balancer)를 사용하여 포트 80 및 443에서 트래픽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ALB는 고급 요청 라우팅 기능을 기반으로 여러 대상에 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는 레이어 7 로드 밸런서입니다. 또한 HTTPS 트래픽에 대한 SSL 종료를 처리할 수도 있습니다. 포트 포워딩에 ALB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VPC에서 ALB를 생성하고 포트 80 및 443에 대한 리스너 규칙으로 구성합니다. 요청이 전달될 대상 그룹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Docker..

·코테공부
문자열 my_str과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my_str을 길이 n씩 잘라서 저장한 배열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1 ≤ my_str의 길이 ≤ 100 1 ≤ n ≤ my_str의 길이 my_str은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abc1Addfggg4556b" 를 길이 6씩 잘라 배열에 저장한 ["abc1Ad", "dfggg4", "556b"]를 return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2 "abcdef123" 를 길이 3씩 잘라 배열에 저장한 ["abc", "def", "123"]를 return해야 합니다. 유의사항 입출력 예 #1의 경우 "abc1Addfggg4556b"를 길이 6씩 자르면 "abc1..
·코테공부
문제 설명 문자열 "hello"에서 각 문자를 오른쪽으로 한 칸씩 밀고 마지막 문자는 맨 앞으로 이동시키면 "ohell"이 됩니다. 이것을 문자열을 민다고 정의한다면 문자열 A와 B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A를 밀어서 B가 될 수 있다면 밀어야 하는 최소 횟수를 return하고 밀어서 B가 될 수 없으면 -1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 0 < A의 길이 = B의 길이 < 100 - A, B는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hello"를 오른쪽으로 한 칸 밀면 "ohell"가 됩니다. 입출력 예 #2 "apple"은 몇 번을 밀어도 "elppa"가 될 수 없습니다. 입출력 예 #3 "atat"는 오른쪽으로 한 칸, 세 칸..
저번에는 aws console에서 배포해봤으니 이제는 cli로 배포해보고자 한다. 1. awsebcli 설치 이전 글에서 python3.9.16을 사용했었다. 근데, EB에서는 파이썬 버전을 3.8까지만 지원하기 때문에 패키지 충돌이 날것이 뻔했다. 그래서 가상환경을 쓰는 것을 추천한다. 패키지 충돌없이 우회하는 방법이 있는데, 기존에 프로젝트를 돌리던 가상환경과 별개로 나같은 경우에는 conda 3.8버전으로 pip install awsebcli 이것만 설치한 가상환경을 생성해서 배포할때만 이 가상환경을 실행했다. 그러니까 배포용으로만 쓰는것 ㅋㅋㅋㅋ 그럼 패키지 충돌 없잖아~ 개꿀~ (솔직히 파이썬 3.8까지만 지원하는게 문제 아닌가...? 지금 3.11까지 나와있는데 뭔 아직 3.8이야...) 2...
·코테공부
코테 공부를 너무 안해서 아무것도 모르겠다고 느꼈다. 그래서 다시 공부하고자 한다. 쉬운거부터 풀어야지 ㅋㅋㅋ 문제 설명 머쓱이는 큰 종이를 1 x 1 크기로 자르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2 x 2 크기의 종이를 1 x 1 크기로 자르려면 최소 가위질 세 번이 필요합니다. 정수 M,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M x N 크기의 종이를 최소로 가위질 해야하는 횟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