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배포를 어떤식으로 할까 생각해보다가 EB가 간단해 보여서 사용해보고자 한다. 참고로 EB, Docker를 통해 배포했으며, python version은 3.9.16이었다. Docker를 쓴 이유는 EB에서 제공하는 Python 버전이 3.8까지었나 해서 내 버전으로는 배포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왜냐면 pip install awsebcli 할 때 터질거기 때문... ㅋㅋㅋ; 패키지 충돌 뻥뻥~ 그래서 도커로 했다. 근데, 도커 + EB 로 하면 ECS랑 비슷하게 사용하는 방식으로 느껴졌다. 하지만, 난이도는 도커 + EB 가 훨씬 쉽다.(초보자에게 추천!) 1. 우선 장고 root 디렉토리에 다음과 같이 만든다. .github 처럼 저런 디렉토리 경로를 만들어주면 알아서 인식하는..
분류 전체보기
docker-compose version desktop 도커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깔린다. 도커컴포즈가 설치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mysql 디렉토리와 동일한 경로에 wp 디렉토리를 만들었다. wp 디렉토리 안에 docker-compose.yml 파일을 만들었다. # wp/docker-compose.yml version: '2' services: db: image: mysql:5.7 volumes: - ./mysql:/var/lib/mysql restart: always environment: MYSQL_ROOT_PASSWORD: wordpress MYSQL_DATABASE: wordpress MYSQL_USER: wordpress MYSQL_PASSWORD: wordpress wordp..

* 초보를 위한 도커 안내서 강의를 보고 요약한 게시물입니다. 도커를 처음 설치해서 실행해봤다. docker run ubuntu:20.04 우분투 설치 docker version 을 실행했더니 아래 에러가 발생했다.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at unix:///var/run/docker.sock. Is the docker daemon running?해결법은 간단하다. 도커 for 데스크탑을 실행시켜야한다. docker version Client: Cloud integration: v1.0.22 Version: 20.10.12 API version: 1.41 Go version: go1.16.12 Git commit: e91ed57 Built: Mon Dec 13 1..

Request 객체 DRF는 HttpRequest를 Request 객체로 확장하여 더 유연한 요청 파싱을 제공한다. 핵심 기능은 requst.POST와 비슷하지만 웹 API에 더 유용한 request.data 속성이다. JSON data를 파싱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므로 중요하다. class ExampleView(APIView): """ A view that can accept POST requests with JSON content. """ parser_classes = [JSONParser] def post(self, request, format=None): return Response({'received data': request.data}) request.data는 parsing된 request의 b..
거진 7주동안 15개 정도의 회사를 면접본 것 같다. 그래서 취업준비도 지치기도 했고, 좋은 느낌의 cto 분과 식사면접?을 하면서 여기 회사 다녀도 괜찮겠다 싶어서 합류를 생각중이다. 여러 회사를 면접보면서 느낀것인데, Seed 단계 ~ 시리즈A 단계 회사는 지금 당장 API를 만들어줄 사람, aws를 사용해서 배포를 해줄 수 있는 사람을 구하는 것 같다.(지금 내 수준이 여기에 해당되는 것이겠지.) 근데, 내가 원하는 것은 내가 믿고 따를 수 있는 사수가 있는 회사였다. 하지만, 이 바람을 이룰 수는 없게 되었다. 사수가 있는 회사는 나를 원하지를 않더라...(눈물...) 왜냐하면 개발자가 여럿 있는 회사는 이제 막 규모를 확장하려는 회사이기 때문에 새로운 문제를 해결해 나갈 동료를 원한다. 그렇기 ..

4~5월 이직 준비하며 겪었던 후기를 말해보고자 한다. (아직 취업 못해서 진행중 ㅋㅋㅋ) 이직을 하려고 면접을 여러번 봤다. 2달동안 7번 정도를 본 것 같다. Seed stage 스타트업에서 데인 기억이 있어서 시리즈 b 이상으로만 지원했었다. 과정은 이러했다. 서류 - 온라인 코딩테스트 or 과제테스트 - 기술면접(온라인 코테 없었을 경우 라이브코테)- 임원면접 과정을 거쳤다. 서류지원 과정은 포트폴리오나 이력으로 걸러지니까 그냥 케바케인것 같다. **기술면접** 과정에서 많이 깨졌다. 온라인 코딩테스트를 보면 코딩테스트를 기반으로 더 효율적인 코드를 짜보라고 한다. 과제테스트를 보면 과제테스트를 기반으로 또 코딩테스트를 보게 되는데, 이게 실제 코딩을 어떻게 하는지 보여주면서 하는지라 식은땀이 너..